반응형

하드디스크를 (보조 기억 장치)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맷이 필수적입니다.

내장 또는 외장 하드 디스크를 처음 설치하면 포맷을 해야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설치를 하면 디스크 정보는 PC에서 자동으로 잡습니다.

 

하지만 탐색기를 이용해서 보면 하드디스크가 활성화되어있지 않아 안보이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그런경우가 PC용도가 아닌 콘솔게임기에서 운용하다 PC에서 물릴경우와(논리 디스크 방식이 다릅니다.) 새노트북을 구매시 하드디스크를 추가했을때 추가된 하드디스크는 공장 초기상태로 논리 디스크 영역이 없는상태죠.

 

이럴때 PC에서 사용할수 있도록 논리디스크를 잡아주고 포맷하는 방법입니다.

 

포맷 방법

 

윈도우10 기준으로 작업표시줄 윈도우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우클릭을 합니다.

우클릭을 하면 메뉴가 나오는데 메뉴에서 디스크 관리로 들어갑니다.

 

디스크 관리에 들어오면 디스크 초기화 화면이 뜹니다.

GPT옵션을 선택하세요.

 

2TB이상의 하드디스크는 무조건 GPT로 잡아야합니다.

MBR로 잡게되면 2TB만 인식해요.

2TB이하면 MBR로 잡아서 사용해도 되기는 해요.

 

MBR과 GPT

 

MBR은 주 파티션을 4개까지 생성가능하며, 디스크 용량 최대 2TB까지 인식하며, BIOS가 설치된 PC에서 사용합니다.

 

GPT는 주 파티션을 128개까지 생성가능하며, 디스크 용량 최대 9.42ZB까지 인식하며, UEFI 또는 EFI가 설치된 PC에서 사용가능합니다.

 

물리적 하드디스크가 여러개 물려있어 제거에는 디스크 5가 새로운 하드디스크인데요.

디스크 5에서 우클릭 후 '새 단순 볼륨'을 클릭합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따로 파티션을 나누지 않고 사용하기때문에 기본설정된(전체 설정) 값으로 '다음'을 클릭합니다. 

 

 

드라이브 문자 할당으로 원하는 문자를 할당해도 좋고 기본값으로 해도 좋습니다.

'다음'을 클릭합니다.

 

파티션 포맷으로 '다음'을 클릭해줍니다.

 

 

포맷이 완료되었습니다. '마침'을 클릭해주세요.

 

디스크 관리로 나오게되고 확인을 하면 디스크 5가 H드리이브 NTFS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된 모습을 볼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