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P3

MPEG 규격의(MPEG1/MPEG2 Audio Layer-3) 손실 오디오 압축으로 PCM 오디오 데이터에서 사람이 듣지 못하는 부분을 없애 압축하여 데이터 용량을 줄여 상대적으로 음질이 좋지 않습니다만 압축할 때 비트레이트 조정을 통해 음질이 틀리겠죠.

 

WAV, WAVE (Waveform audio format)

웨이브폼 오디오 포맷으로 비압축 오디오 포맷으로 윈도우 시스템에 쓰이는 파일입니다.

프로그램의 구동음이나 일반 수준의 녹음용으로 사용됩니다.

 

OGG

MP3 대안으로 개발된 사운드 포맷으로 MP3에 비해 높은 압축률을 보이며 좀 더 나은 음질을 들려줍니다.

 

WMA (Window Media Audio)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내장되어있으며,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오디오 포맷으로 웹에서 실시간 음악 감상이 가능합니다.

동일 음질 대비 MP3에 비해 용량이 2배 정도 큽니다.

 

M4A

MP4는 영상과 사운드가 포함된 포맷으로 M4A는 오디오 전용입니다.

 

FLAC (FREE LOSSLESS AUDIO CODE)

무손실 압축 방식으로 음원 손실이 없는 방식으로 프리 소프트웨어로써 범용성이 좋습니다.

 

AAC (Advanced Audio Coding)

디지털 오디오에 쓰이는 표준적인 손실 데이터 압축방식으로 MPEG규격에(동영상 파일 압축 기술) 포함되어 있으며, AACMPEG2MPEG4로 나뉩니다.

AACMP3에 비해 음질이 우수하고 30% 정도 압축률이 높습니다.

애플의 아이폰, 아이팟, 아이튠즈에 사용되는 기본 포맷입니다.

 

ALAC (Apple Lossless Audio Codec)

애플 전용으로 무손실 압축 음원으로 FLAC와 같은 방식이지만 애플에서만 사용합니다.

 

AIFF (Apple Interchange File Format)

애플 전용으로 무손실 무압축 방식입니다.

 

오디오 파일 종류도 다양한데요.

기술발전으로 저장공간이 매우 커지면서 무손실 음원들을 많이 찾는듯한데요.

과거에는 저장공간이 작다 보니 압축을 통해 용량을 줄이고 용량을 줄임에 따라 필연적으로 음질 손실이 발생하게 되었죠.

지금은 넉넉한 저장공간으로 손실 압축 방식보다는 무손실 압축 방식으로 무손실 음원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P케이블 이해하기  (0) 2020.01.22
동영상 포맷의(H.264) 종류  (0) 2020.01.15
영상에 사용되는 사운드 포맷(코덱) 형식  (0) 2020.01.10
삼성 사운드바 7.1.4채널 HW-Q950R  (0) 2020.01.08
ARC와 eARC  (0) 2020.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