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EG (동화상 전문가 그룹,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동영상을 압축하고 코드로 표현하는 방법의 표준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동화상 전문가 그룹입니다.
MPEG1
최초의 비디오, 오디오 표준 압축기술로 디지털 저장매체에 VHS 테이프 수준의 동영상과 음향을 최대 1.5 Mbps로 압축 저장하며, 최대 해상도는 352X288로 흔히 Video CD로 보시면 됩니다.
MPEG2
MPEG1을 개선한 것으로 디지털 방송이나 DVD와 같은 동영상 압축에 사용하는 손실 압축기술입니다.
4~100 Mbps의 전송속도이며 FHD급 해상도까지 구현합니다.
MPEG3
고화질 TV 품질에 해당하는 고선명도의 화질을 얻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지만 MPEG2에 통합되었습니다.
MPEG4
낮은 전송률로 동화상을 보내고자 개발된 새로운 표준으로 매초 64 Kbps, 192 Kbps의 저속 전송으로 동화상을 구현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포맷 방식이죠.
MPEG7
동영상 데이터 검색과 전자상거래 등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기술로 정보검색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압축 표준으로 디지털 도서관이나 지도검색 등이 해당됩니다.
MPEG21
MPEG1 MPEG2, MPEG4의 관련 기술을 통합한 기술로 네트워크나 장치에 있는 멀티미디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WMV/WMA (Windows media video/Windows media audio)
MS가 만든 비디오/오디오 코덱입니다.
윈도우에 기본 제공되는 포맷 형식입니다.
MOV (Quick Time Movie)
애플에서 만든 포맷으로 일반인보다는 전문가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영상 제작 시 알파 값을 지원함으로써 투명 배경에 다른 영상과 합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용량 대비 화질이 우수합니다.
DivX
통상적으로 ‘디빅스’라고 부르며, 높은 압축률로DVD급(싱글 레이어 4.7GB, 더블 레이어 9.4GB) 용량을 CD급 용량(650MB~700MB)으로 거의 화질 저하 없이 압축되는 우수한 코덱으로 MPEG4 개발로 만들어졌죠.
Xvid
‘제비드’라고 부르며, DivX를 거꾸로 표기했으며, 경쟁 코덱입니다.
오픈 소스로 디빅스와 마찬가지로 MPEG4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코덱입니다.
H.26x
VCEG에서(영상 부호화 전문가 그룹) 정하는 표준 동영상 압축 규격으로 H.120, H.261, H.262, H.263, H.264, H.265가 있습니다.
H.120
최초의 디지털 동영상 인코딩 표준입니다.
H.262
MPEG-1Part.2 표준 발표에 따라 VCD에(Video CD) 들어가는 동영상 코덱으로 채택된 코덱입니다.
H.263
화상 회의, 화상 전화에 사용하기 위한 표준영상 압축으로 초당 20K~24K의 낮은 대역으로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합니다.
H.264 / MPEG4 AVC (Advanced Video Coding, 고급 영상 부호화)
블록 단위 움직임 보상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으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포맷입니다. (블루레이 표준 코덱 중 하나입니다.)
보통 손실 압축으로 사용하지만 영상 내 무손실 영역을 만들거나 드물게 전체 무손실로 인코딩할 수도 있습니다.
표준들의 집합체로 유튜브, 아이튠즈 스토어 영상 등등 스트리밍 서비스와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MS실버라이트 등이 웹 소프트웨어, HDTV 방송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H.265 /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고효율 비디오 코딩)
H.264의 후속 포맷으로 압축 효율이2배 이상 높아졌으나 압축 알고리즘이 복잡하여 인코딩과 디코딩 시 동일 PC 사양 기준으로 1.2~2배 정도 CPU 리소스를 더 사용합니다.
동영상 포맷을 작성하면서 추억 돋네요.
MPEG1 기반인 VCD를 PC에서 돌리면 뚝뚝 끊기는 영상을 봤었는데요.
그러다가 MPEG 보드가 있으면 부드럽게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고 했는데요.
PC 성능이 좋아지면서 필요가 없어지고, Divx와 Xvid 코덱으로 인해 VCD에서 저용량, 고화질의 영상을 볼 수가 있었죠.
CRT 모니터에 애니 영상 1편 30~40MB로 VCD 650MB짜리 하고 비슷했으니깐요.
지금은 4K용 블루레이를 보고 있네요. ㅎㅎ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오딧세이MR, VR 무선 컨트롤러 쏠림현상으로 분해 (0) | 2020.01.28 |
---|---|
UTP케이블 이해하기 (0) | 2020.01.22 |
각종 오디오 포맷(코덱) 종류 (0) | 2020.01.12 |
영상에 사용되는 사운드 포맷(코덱) 형식 (0) | 2020.01.10 |
삼성 사운드바 7.1.4채널 HW-Q950R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