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방에 랜 포트가 많다면 상관이 없겠지만 랜 포트가 부족하면 해볼 수 있는 방법이에요.

가정마다 상황이 다르겠지만 통신단자함이 있을 텐데요.

 

 

 

UTP케이블 이해하기

UTP(Unshielded Twisted Pair, 비차폐 연선)선의 열할 청색 2가닥 전화선 등색 2가닥 TX(송신) 녹색 2가닥 RX(수신) 갈색 2가닥 PoE기능에서 전원 또는 접지 역할 UTP선에 할당된 역할인데요. 기가랜에서는 청색..

life-is-happy.tistory.com

 

현재 살고 있는 집 기준으로 통신단자에서 방마다 랜 포트 1개와 전화 포트 1개가 있습니다.

전화 포트도 어차피 랜 케이블을(UTP) 사용하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전화기를 사용하는 방은 제외하더라도 작은방에서는 전화 포트를 랜 포트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있죠.

단자함을 보면 꼬리표도 붙어있으니 쉽게 찾을 수 있을 겁니다.

랜 테스터기가 있다면 확실하게 찾을 수 있고요.

 

랜 포트가 그래도 부족하다 싶으면 UTP 케이블에 RJ-45 작업을 별도로 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전송속도는 100메가급으로 떨어지지만 100메가급도 그리 느리지 않다고 생각해요.

 

필요한 것은 랜선을 작업해야 하고 기존선은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플러도 필요합니다.

랜선에는 8가닥의 구리선이 있고 선색마다 번호가 정해져 있죠.

8가닥으로 2개포트 만들기위해 선번호를 사진과 같이 한겁니다.

100메가급 인터넷 통신은 1번, 2번, 3번, 6번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한쪽은 정석대로 8가닥을 RJ-45로 찝어주고 반대쪽은 1, 2, 3, 6번에 등색줄, 등색, 녹색줄, 녹색으로 찝어줍니다.

 

그러면 청색과 갈색이 남죠.

남은 선은 청색줄, 청색, 갈색줄, 갈색을 1, 2, 3, 6번에 찝어줍니다.

포트를 늘리기 위해서는 2개가 필요하겠죠. (반대편것까지)

 

참고로 기가비트 랜은 8가닥을 전부 사용합니다.

 

방과 단자함 선을 찾았다면 작업한 케이블 끝단에 커플러를 이용해서 달아주고 작업한 케이블을 달아줍니다.

방에서 나오는 포트에는 8가닥짜리 RJ를 꼽으면 반대쪽 RJ는 2개 모두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지죠.

 

랜선을 제작하고 단자에서 방마다 포트를 찾을 수 있다면 응용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공유기 설치된 방에서 주방과 거실로 인터넷 신호를 보내는건데요.

LTE신호가 약해서 가정용 기지국(신호 증폭기)을 옮기면서 작업한겁니다.

단자함에서 벽면 포트는 많은데 인터넷 신호를 보낼 포트가 부족하더라고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