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상에는 여러직업군이 있는데요.

그중에서 직업군인은 계급 정년과 연령 정년이 모두 포함되는 특수직인데요.

직급을 못하면 연령 정년에 걸리게 되어 강제전역을 해야해요.

 

사회에서 볼 때 평생직장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진급이 안되 비 자발적으로 사회로 나가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비 자발적으로(강제전역) 사회에 나가는 경우를 볼 때 부사관의 경우는 개인의 잘못이(징계등의 사유로 인해 진급이 안될 때) 가장 큰 요인이 될듯합니다.

장교의 경우는 대위에서 소령 진급이 안될때이죠.

영관급 장교부터는 진급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소령까지만 진급하면 군인연금 수급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의 경력이 쌓이죠.

부사관도 중사진급하고 연령정년까지 버티면 군인연금 수급을 받을수는 있겠지만 계급을 계속 달고 다니다보니 자존심? 때문에 자발적으로 전역할듯하네요.

 

직업군인 계급별 연령정년

 

하사 : 40세

중사 : 45세

상사 : 53세

원사 : 55세

준위 : 55세

소위 : 43세

중위 : 43세

대위 : 43세

소령 : 45세

중령 : 53세

대령 : 56세

소장 : 59세

중장 : 61세

대장 : 63세

원수 : 종신

 

하사에서 중사로 40세에 진급을 못하면 장기복무자라도 전역해야 합니다.

장기복무가 되었다고 안심하면 안되죠.

중사까지는 대부분 진급하지만 상사 진급부터는 빠른사람은 빠르고 진급이 느린사람들도 의외로 많습니다.

(진급이 느린 주특기들이 있죠. 예를 들면 인사행정과 정보통신 주특기가 진급이 느린 편이죠. 진급 빠른 주특기는 보병이 빠른데요. 사람도 많고 그만큼 TO가 많으니깐요.)

연령정년까지 가서 강제전역한 사람은 본적은 없지만요.

 

 

직업군인 계급별 근속정년

 

소위 : 15년

중위 : 15년

대위 : 15년

소령 : 24년

중령 : 32년

대령 : 35년

 

근속정년은 장교만 해당되며, 장교로 임관한 이후 년수를 새는 것으로 소위의 경우 15년째가 되면 근속 정년에 해당이 되는 것으로 나이와 무관하게 전역해야됩니다.

 

, 23세에 임관을 했다고 가정했을 때 근속 15년을 하면 38세가 되겠지요.

연령정년은 43세지만 근속정년이 도래했기 때문에 38세에 전역하게됩니다.

30세에 늦게 입대해서 소위로 임관했다면 근속 15년일 때 45세이지만 연령정년 43세에 걸려 전역해야 하죠.

 

장교의 경우 연령정년과 근속정년에서 먼저 도래되는 것을 적용받기 때문에 불리한 면이 있습니다.

 

 

계급정년

계급정년은 장성급 장교들만 해당되면, 준장에서 소장으로 진급못하면 전역하면 됩니다.

 

준장 : 6년

소장 : 6년

중장 : 4년

 

장성급 장교는 진급안되도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기 때문에 욕심 많은 장군 만나면 예하부대들 뺑이 엄청 칩니다.

 

아무튼 장성급 장교들은 지지기반 자체가 어마무시해서 전역해도 대부분이 군 관련쪽으로 취업합니다.

하다못해 정신교육 강사도 하죠.

위관급, 영관급 장교들도 있지만 강사료가 틀리겠죠.

(영관급 장교들도 비슷하겠지만 장군들과 비비기는 힘들겠죠. 대령은 비빌만 할듯하네요.)

일부 장성은 정치에 뛰어들기도 하죠.

 

장성급은 연금액도 어마어마한데 취업걱정도 없는 사람들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