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공무원 연봉 인상률은 0.9%로 최근 10년 이래 가장 낮은 상승률입니다.
봉급표는 세전 금액이며, 기본급만 나와 있어 실제 수령금액과 상이합니다.
부대 특성과 업무에 따라 수당도 틀리기 때문에 봉급표는 참고만 해주세요.
(상시 전투대기 부대와 특수 임무 수행 등에 따라 다르겠죠.)
월급표(봉급표)를 보시면 근무년수와 호봉이 틀리죠.
중사 1호봉인데 근무년수는 3년 차가 되죠.
하사에서 중사로 1차 진급을 한다면 3년 차에 진급을 합니다.
하사 2년 차부터 진급심사를 들어가죠.
상사도 보면 5년 차에 1호봉이 시작하죠.
중사 3호봉 때(근속 4년 차) 진급심사를 들어간다는 겁니다.
실제 매우 힘들고 진급심사도 각 주특기에 따라 심사하는 제대가 틀립니다.
일반적으로 중사 진급은 실 복무기간 4년 차에 (진) 달고 5년 차쯤에 중사 진급합니다.
그래서 장기복무 또는 복무연장이 안되었을 때 전역전 중사 진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상사부터는 진급 격차가 엄청 심해지죠.
동일부대에서 전투 주특기인 후배가 먼저 진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선배가 근무평정이 좋지 않아 진급을 못하는 게 아니라 주특기별 TO로 인해 진급이 느린 거죠.
동일 주특기에서 후배가 먼저 진급하는 건 근무 평정이 좋지 못한 거고요.
통상 중사 진급은 사여단급 심사이며, 상사 진급은 군단, 군사급 심사죠.
원사는 육본 심사입니다.
중사 진급도 특이 주특기는 차차상위급 심사를 하기도 합니다.
병사 월급 (이병, 일병, 상병, 병장)
2020년 이병 408,100원, 일병 441,700원, 상병 488,200원, 병장 540,900원
2021년 이병 459,100원, 일병 496,900원, 상병 549,200원, 병장 608,500원
부사관 월급 (하사, 중사, 상사, 원사)
장교 월급 위관급 (준위, 소위, 중위, 대위)
장교 월급 영관급 (소령, 중령, 대령)
'군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군인연금 인상률 (0) | 2022.01.03 |
---|---|
군대 사건·사고 폭로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0) | 2021.06.03 |
2021년 군인연금 인상률 (0) | 2021.01.06 |
제대 군인 지원제도 (0) | 2020.10.25 |
개인적 의견이 많이 들어간 대대급 군의관 업무에 대해 (1)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