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족의 범위

 

직계존속

본인을 기준으로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

(‘라는 존재를 있게 만들어주신 분들)

 

직계비속

본인을 기준으로 자식과 그 배우자, 손자녀

(‘나’로인해 생겨난 사람들)

 

배우자

혼인신고된 배우자 및 혼인관계에 있는 자 포함

61세 이후 혼인한 배우자 제외

(군 복무 당시 혼인관계에 있었던 자는 61세 이후 재혼 시 예외적으로 유족으로 인정)

 

 

자녀

19세 미만 자녀

(장애인 자녀(1~7)는 연령제한 없음)

61세 이후 출생 또는 입양한 자녀 제외

(60세 당시의 태아는 유족으로 인정)

 

손자녀

아버지가 없거나 그의 아버지가 상이등급(17) 자로서 19세 미만의 손자녀

장애인 손자녀(1~7)는 연령제한 없음

(60세 당시의 태아는 유족으로 인정)

 

부모

전역일 이후 양부모는 제외 (수급자가 양자가 된 경우)

 

조부모

전역일 이후 양조부모는 제외 (수급자가 양손자 된 경우)

 

유족 우선순위

직계비속이 직계존속에 우선, 배우자는 선순위자와 동 순위입니다..

동순위가 여러 명인 경우 최근친이 선순위 자녀가 손자녀보다, 부모가 조부모보다 선순위

최근친이 여러 명인 경우 등분 지급 또는 대표자 선정 시 그 대표자에게 전액 지급

유족이 자격상실(재혼, 사망 등) 시 동순위자, 차순위자 순으로 승계됩니다.

 

유족연금 지급률

136월 이전 임관자 70%, 136월 이후 임관자 60% (71일 이후 임관자)

19세 미만 자녀 및 연령제한 없는 장애인 자녀의 지급률은 70%를 지급해요.

 

유족이 없는 경우 연금의 지급

사망 당시 월연 금액의3년분 × (36-연금수급월수) ÷ 36

직계비속 또는 직계존속도 없는 경우 그 사망한 군인을 위하여 사용합니다.

 

유족연금 지급액의 조정

군인연금, 공무원연금,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을 받던 자가 유족연금을 함께 받게 된 경우

유족연금의 1/2을 감하여 지급

(복무 중 공무를 수행하다가 사망하거나 질병 또는 부상으로 사망한 경우 제외)

 

 

 

유족연금 수급권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리를 하자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여러 명일 경우

우선순위에 의해 유족연금을 수급을 받게 됩니다..

직계존속과 배우자가 동순위인데요.

서로 받겠다 하면 유족연금의 연금액은 n/1로 수급받게 됩니다..

대표자가 있다면 대표자가 전부 수급받는 거고요..

n/1로 수급 중일 때 수급권자 중 누군가 사망하였다면

남은 사람들이 전체액을 나눠 수급받게 됩니다.

 

배우자의 경우 이혼을 할 수도 있는데요.

이혼 시 연금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혼을 하면

연금 수급을 받지 못하지만 차후 재혼을 하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혼을 하더라고 사실혼 배우자와 법률상 배우자가 있을 수 있는데요.

법률상 배우자와는 법적으로는 이혼한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

법률상 배우자가 유족연금을 수급받게 됩니다..

 

직계비속으로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장애등급, 연령 무관)

직계존속보다 선순위가 되는데요. 배우자 또한 동순위자가 됩니다..

장애등급외 일때는(1급~7급이 아닐 때) 직계존속과 배우자가 n/1 또는 대표자가

유족연금을 수급해요.

 

내용을 다 보셨다면 배우자의 비중이 아주 많다는 것을 느꼈을 겁니다.

어찌 보면 힘든 시절 항상 곁에서 내조하고, 보듬어주고, 지탱해준 사람에 대한 예의죠.

 

20년 이상 군 복무를 한 군인이 사망하면 현충원에 안장이 됩니다.

후에 배우자가 사망하면 합장도 됩니다.

연금 수급자가 사망한 후 배우자가 재혼을 할 수도 있는데요.

재혼하면 연금 수급이 정지가 됩니다.

 

중요사항으로 연금수급자가 사망하였을 경우 반드시 사망신고를 하고

유족연금을 신청해야 합니다.사망신고를 하지 않고 군인연금으로

수급받으면 부정수급으로 형사고발 및 부정수급액 전액을 반납해야 합니다.

 

유족연금 청구시효는 5인데요. 5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시효초과로

유족연금을 못 받게 됩니다.

반응형

'군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격훈련  (0) 2019.10.24
민방위 훈련 조회방법  (0) 2019.10.21
직업군인 전역하기 전 알면 좋은 내용  (0) 2019.10.17
군인공제회 전역폰과 현역병 병사폰 구입방법  (0) 2019.10.13
부사관의 장점  (0) 2019.10.12
반응형

직업군인으로서 군 복무를 하다 보면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해

전역을 하게 될 수 있는데요.

자의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전역하는 거겠죠..

타의에 의한 전역은 장기가 되지 않았을 경우와

징계로 인한 현역 부적합 심사에 의해서겠죠.

(현부심도 지원이 되는지 모르겠네요.)

장기가 되지 않았을 때 바로 전역하는 사람과 복무연장을 해서

5년 이상을 복무하고 전역하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5년 이상을 복무하고 나가는 경우는 중기복무자가 되죠.

장기복무자도 자의에 의해서 전역을 선택할 수 있죠.

중장기 복무자를 위한 제도가 있기 때문에 잘 활용했으면 합니다.

 

전역을 결심했다면 전역 전 전직 교육을 신청하는데요.

복무기간에 따라 전직 교육기간이 편성됩니다.

 

5년 이상 ~ 7년 미만 : 1개월

7년 이상 ~ 9년 미만 : 2개월

9년 이상 ~ 10년 미만 : 3개월

10년 이상 ~ 27년 미만 : 10개월

27년 이상 ~ 30년 미만 : 11개월

30년 이상 : 12개월

 

장기복무자 주의사항으로 전직 교육을 입교하게 되면

취소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입교 전에는 취소 가능합니다.

 

전직 교육기간 동안은 전역한 것이 아니어서 신분은 군인 신분을 유지합니다.

사고 치면 안 됩니다. 군인이기 때문에 헌병으로 사건이 이첩됩니다.

부대에 출근을 하지 아니하고 일부 수당을 제외한 월급은 그대로 지급됩니다.

 

전역 전 전직 교육원 홈페이지에 가입하여 일정을 보고

12일의 진로교육 신청해서 받으시면 되는데요.

전역을 결심했다면 빠르게 다녀오는 게 좋습니다.

 

특히, 중기복무자의 경우는 서둘러야 해요.

아차 하는 순간 전역할 수 있고, 진로교육 외 기본교육을 현역 신분일 때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장기복무자는 기본교육을 전직 교육기간에 받아야 합니다.

 

앞으로의 일들을 먼저 확인해 보고 결정을 하시는 게 좋으니깐요.

 

신청을 하면 인사명령 공문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파견으로 하루 다녀오시면 됩니다.

진로교육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큰 테두리로 어떤 제도가

있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데요.

앞으로 전직 교육기간 동안의 활동들과 자기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시면 됩니다.

관리자의 입장에서 오랜 기간 생활했기 때문에 몸에 자연스럽게

배어있는 나쁜 습관들이나 고압적인 자세를 없애야겠죠.

 

 

유용한 제도

중기복무자의 경우 전직 교육기간이 짧죠.

전역한다고 해서 바로 취업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요.

여건이 안되어도 취업박람회도 꼭 챙겨야 합니다.

전역하면 업무적으로는 끝이기 때문에 나 없으면

안된다는 생각은 고이 접어두세요.

타인이 당신의 삶을 책임져 주지는 않아요.

 

 

 

국방부 (국방 전직지원제도)

전역 후 취업, 창업, 귀농귀촌 등

전역간부가 제2의 인생을 살아가도록 지원하는 제도인 거죠.

군의 특수성으로 인해 사회성도 기르고 전역 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역할을 하도록 도와줍니다.

 

전직 교육이 시작되면 전직 교육원 홈페이지를 통해

취업반, 창업반, 귀농귀촌반 중 1개 과정을 선택하여 45일간의

심화과정 교육을 받습니다.

주의사항이 딱 1가지 과목만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앞서 이야기했듯 진로교육을 빨리 받으라는 이유이며, 본인이 생각하는 것과

가족과의 이야기를 많이 해볼 시간을 갖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죠.

 

 

 

 

전직지원금 (중기복무자)

취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실업) 최대 6개월간 월 25만 원 지원하는 제도.(5년 이상자)

10년 이상 19년 6개월 이하인 복무자는 동일 기간에 월 50만 원까지 지원을 해줍니다.

(19년 6개월 이상자는 지원받을 수 없어요.)

부정한 방법을 사용하면 안 되겠죠.

6개월간의 지원금을 받아서 취업활동을 하시면 됩니다.

취업이 된다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지원금은 중단이 되고요.

 

 

 

국가 보훈처 (제대군인센터)

 

전직 교육기간 중 또는 전역 후 3년 이내(실업상태)

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 직업능력개발 교육비가 있는데요.

150만원한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원금인데요.

지원금을 이용하여 취업에 필요한 기술이나 자격증을 취득할 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자부담 20%)

 

 

 

고용노동부 (워크넷)

마찬가지로 실업상태에서 신청하는 제도인데요.

전 국민이 신청할 수 있는 제도로서 신청을 하면

내일 배움 카드를 발급받게 됩니다. (200만 원)

카드(지원금)를 이용하여 취업을 위한 자격증 취득 등에 사용할 수 있는데요.

카드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 사용을 해야 한다는 점이 있어요.

(교육에 따라 자부담 20%~50%)

 

 

기본교육까지 마치게 되면 이후에도 취업, 창업, 귀농귀촌 등의

심화과정들도 있기 때문에 전역을 결심한 분들은

필히 교육을 받으시고 정보공유도 하면서 앞으로의

인생을 즐겁고 행복하게 보냈으면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메탈기어 솔리드 시리즈를 개발한 코지마 히데오의 신작이죠.

2015년 코나미를 퇴사한 후 2016E3에서 처음 공개되었던

데스 스트랜딩이8일 출시를 앞두고 있는데요.

 

현재 예약판매 기간으로 113일까지입니다.

예야판매 기간에 예약하면 초회특전 및 예약판매 특전이 있어요.

 

초회특전

PSN 아바타(넨도로이드 루덴스)

DEATH STRANDING 다이내믹 테마

골드 선글라스 (게임 내 아이템)

골드 모자 (게임 내 아이템)

골드 스피드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골드 아머 플레이드 (게임 내 아이템)

 

 

예약 판매특전

여권 케이스

 

 

스탠더드 에디션

게임본편 디스크

가격 : 64,800

 

 

스페셜 에디션

스틸북 케이스

골드 루덴스 마스크선글라스 (게임 내 아이템)

DEATH STRANDING : Timefall

(Original Music from the World of DEATH STRANDING)

-디지털 다운로드용 뮤직 앨범과 제작기 영상

가격 : 75,800원

 

 

콜렉터즈 에디션

스페셜 에디션 구성품

BB 포드 조각상

넨도로이드 모어 루덴스 미니 피규어

브리지스 화물 케이스

골드 파워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더 무거운 짐을 들 수 있는 아이템

골드 올 테레인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 불안정한 지형을 이동할 때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향상

골드 아머 플레이트 (레벨2) (게임 내 아이템)

추락, 총격 및 기타 대미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

가격 : 224,800

 

 

리미티드 에디션

오리지널 디자인 PS4PRO 본체, 듀얼쇼크4

스탠더드용 게임 디스크

DEATH STRANDING 다이내믹 테마

PSN 아바타(넨도로이드 루덴스)

DEATH STRANDING 다이내믹 테마

골드 선글라스 (게임 내 아이템)

골드 모자 (게임 내 아이템)

골드 스피드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골드 아머 플레이드 (게임 내 아이템)

골드 루덴스 마스크선글라스 (게임 내 아이템)

골드 파워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더 무거운 짐을 들 수 있는 아이템

골드 올 테레인 스켈레톤 (게임 내 아이템)

- 불안정한 지형을 이동할 때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 향상

골드 아머 플레이트 (레벨2) (게임 내 아이템)

추락, 총격 및 기타 대미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

DEATH STRANDING : Timefall

(Original Music from the World of DEATH STRANDING)

-디지털 다운로드용 뮤직 앨범과 제작기 영상

가격 : 498,000원

반응형
반응형

 

마이크로소프트의 콘솔 게임기 엑스박스의 차세대기는(9세대)

프로젝트명으로 불리고 있는데요.

프로젝트 '스칼렛'이죠.

 

엑스박스는 전세대들부터 플레이스테이션보다는

하드웨어 스펙은 높게 나왔었죠.

 

현재까지 공개된 엑스박스 스칼렛 스펙

ZEN2기반 8 코어 / 16 스레드 CPU

AMD GFX10 / NAVI기반 GPU

차세대 SSD를 채용하여 엄청난 속도의 로딩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SSD를 가상 메모리로 활용해 현세대 콘솔에 있는 저장 매체의 40배 성능을 발휘

해상도 8K까지 지원하며, 4K 120Hz 지원

실시간 레이 트레이싱 지원

모든 세대 엑스박스 게임에 대해 하위 호환

(, 엑스박스 원에서 하위 호환을 지원했던 타이틀에 한해)

 

 

엑스박스 스칼렛은 두 가지 버전

아나콘다와 록하트인데요.

아나콘다는 위에서 언급한 스펙의 고성능 콘솔로 발매될 예정입니다.

록하트는 스트리밍 중심의 콘솔로 발매가 된다고 했지만

E3발표에서는 록하트의 내용이 없었는데요.

루머로는 록하트의 개발이 취소된 것이 아닌가 하고 보고 있어요..

시간이 좀 더 지나 봐야 정확하게 알 수 있겠네요.

 

엑스박스 스칼렛의 론칭 타이틀은 헤일로 인피니티입니다.

엑스박스의 간판 타이틀이고 헤일로 머신이라고 불리는 이유죠.

 

 

 

엑스박스에 대한 개인적 생각

하드웨어적 성능만 보면 플레이스테이션보다는 항상 좋았지만

장식장 신세여서 안타 까운데요.

 

지금의 엑스박스 원이 아닌 엑스박스 원 발매 전 돌던

정보들이 생각이 나네요.

엑스박스는 디스크 매체를 없애고자 했었죠.

지금의 D/L로만 타이틀을 판매하고자 했지만

여러 암초에 의해 좌절했던 것으로 알고 있어요.

 

시간이 흘러 현재의 엑스박스의 행보를 보면

록하트의 경우 내부적으로는 개발이 끝났거나 막바지이지 않을까 예상하는데요.

어디까지나 뇌피셜입니다.

 

뇌피셜의 근거는 시대가 변해 게임도 스트리밍 서비스 시대로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죠.

 

지포스 나우는 현재 LG U+ 5G 망 사용자에 한해 정식 서비스는

아니지만 서비스 중이죠.

 

또한, 구글도 ‘스테디아’를 서비스할 예정이고요.

 

이러한 시대의 흐름으로 보았을 때 엑스박스는

후발주자로 들어가고 싶지는 않을 테죠.

앞서 엑스박스는 디스크 매체를 없애려고 했던 적이 있으니깐요.

 

엑스박스 원의 경우는 시대를 잘못 선택했던 게 아닌가 생각되네요.

지금은 나쁜 선택이 아닌게된거죠.

완전한 스트리밍은 아니지만 플스 나우도 있고요.

우리나라에서는 서비스를 하지 않고 있지만요.

 

 

엑스박스 원의 실패는 독점작의 부진과 플스 4의 큰 성공으로 인해

한국시장에서는 폭망 하다시피 해서 디스크 매체로도

게임이 발매가 안된 것들도 있었죠.

폴렛폼 전체발매인데 한글화 안된것도 있죠.

 

과거에 계획했던 부분이 판매부진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형태가 된 건데요.

씁쓸하네요.

 

엑박의 독점 타이틀이라고 할 수 있는 기어즈5도

디스크 매체로 발매를 하지 않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버전과 콘솔 버전을D/L로 동시 발매를 했죠.

 

유저 입장에서는 엑스박스 게임 패스를 통해 저렴하게

플레이를 하긴 했지만요.

개발사는 뭐가 남는지 모르겠네요.

 

MS에서는 일반 소비자가 모르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드네요.

 

콘솔 게임기는 하드웨어보다는 독점 타이틀인데요.

엑스박스에서도 독점 타이틀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반응형
반응형

대부분의 남성은 군 복무를 하고 전역을 합니다.

 

전역 후 사회에서 필수템인 스마트폰을 사용해야 하는데요..

입대 전에 사용하던 스마트폰을 전역 전 또는 전역 후

신상 스마트폰으로 바꾸고 싶어 하는데요..

전역 전에 공군 IT 사이트 들어가서 많이들 보더라고요.

그만큼 최신 스마트폰에 관심이 아주 많지만 가격이나 요금제로

인한 걱정도 많이들 하죠.

그런 걱정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는 방법이 군인공제회의 전역 폰과

병사 폰이라는 서비스입니다.

현역 병사의 경우 올해 4월부터 일과시간 이후에 개인정비 시간에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가 있죠.

관심이 있으신 분은 한번 보시는 것도 좋을듯해요.

 

포털 사이트에서 군인공제회 군이동통신센터 나라사랑 모바일을

검색해서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면 됩니다.

 

홈페이지에 들어오시면 오른쪽에 팝업창에 히어로 존이 있죠.

클릭하면 현역병 병사 폰, 군장병 전역 폰, 사회복무 폰 등으로 제공이 됩니다.

 

 

전역 폰을 가입하기 위해서는 전역 전 6개월~전역 후 6개월 이내인 병사만이

가입할 수 있다는 점 꼭 확인해야 합니다.

 

현역병 병사 폰의 경우도 입대 전에는 가입이 불가하고

가입을 하기 위해서는 입영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가 필요해요.

 

 

 

전역 축하 이벤트 혜택 2가지도 진행 중이에요.

더욱 세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군인공제회 전역 폰 / 현역 폰 / 사회복무 폰

반응형
반응형

부사관의 장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하는데요..

경험에서 나오는 이야기이지만 우리나라 육군 전체적으로

봤을 때 작은 부분일 수 있어요.

개개인만 보아도 서로 성격이 틀리잖아요.

부대도 부대마다의 특성이 있어요.

그러다 보니 정답이라고 할 수는 없어요.

 

 

 

장  점

 

국가공무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

군 복지 혜택이 있다.

한 곳에 정착해서 살아간다.

부대 이동이 적다

자신의 일에 전문가가 된다.

196개월 복무를 하면 연금을 수급받는다.

 

 

 

국가공무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

하사부터 9급 공무원과 동일한 대우를 받게 되는데요..

임관을 하게 되면 공무원증이 발급이 되는데요.

계급이 올라감에 따라 급수도 올라가지만 급수가 중요한 부분은 아니에요.

생활을 하다 보면 사회에서 보는 시선은 그냥 군인이거든요.

 

 

 

군 복지 혜택이 있다.

군 공무원증 같은 경우 실제 가족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인데요.

고향(집 있는 곳)에 영외 PX가 있다면 직계존속에 대해 신분증 사본과

가족관계 증명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데요.

(10년 이상 군 복무 후 전역을 하게 되어도 계속 이용할 수 있어요)

 

일반 대대급 영내 PX보다 영외 PX가 상품 종류가 더 많이 있어요.

영내 PX는 군인들만 이용하다 보니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식품류(설탕, 소금 등등)는 없거든요.

 

대형마트가 훨씬 많은 물건이 있지만

동일 품목이라면 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요.

그 외 여러 가지 복지혜택들이 있는데요.

군 간부라면 국방복지카드를 발급받게 됩니다.

계급에 따라 포인트가 다르지만 분기 1회 총 4회 복지포인트가 들어오죠.

일반카드처럼 사용하시면 되는 겁니다.

은행권에는 약간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군인만 가입할 수 있는 적금상품들도 있습니다.

 

잘 이용하는 사람은 잘 이용하지만 와 닿지 않는 내용으로는

성수기(비성수기) 때 전국에 있는 군 리조트(예약이 힘들지만)를 이용할 수 있는 건데요.

 

 

한 곳에 정착해서 살아간다.

장기가 된다 해도 부사관의 경우에는 큰 이동이 없어요.

장교들은 이동이 빈번한데 비해 이동이 없다는 게 큰 장점인데요.

부사관이라고 해서 무조건 이동을 안 하는 게 아닌데요.

 

후방지역의 경우 강제 전방이동도 있지만 여러 가지 요건에

따라(자녀의 진학, 개인적 신상 등) 이동이 보류되는 경우도 있죠.

 

후방에 있다면 최소 1회는 전방지역에서 군 복무를 하긴 합니다.

후방에서 온 사람의 경우 인사이동 시스템에 대해 잘 아는지

몇 년정도 근무하다 후방으로 잘 돌아갑니다.

 

전방에서 복무 중인 사람들 같은 경우 제2의 고향이라고 생각해서

(처와 자녀가 그 지방 사람이다 보니) 후방으로 또 잘 안 내려가요.

일부는 내려가려고 노력하기도 하죠.

 

이동이 적다 보니 가족과의 관계에 있어 나쁘지는 않은 것 같아요.

결혼을 한다고 해도 대부분 본인이 있던 지역이 아닌 근무지역

이성을 만나서 결혼을 많이 하기 때문이죠.

 

전방지역의 경우는 본인이 원하지 않는 이상 후방으로 강제이동이 없어요.

전방지역 자체적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거기서 거기로 이동하기 때문에 생활환경이 바뀌 지는 않아요.

 

측방이나 중방 교류도 본인의 선택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죠.

 

 

 

부대 이동이 적다

한 곳에 오래 있다 보니 부대에 대해 속속들이 알게 됩니다.

그래서 부대의 주인이라는 말이 있지만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씩 변화하는 부분이기는 한데요.

한 부대에서 십수 년씩 복무를 했었는데 지금은 생활환경의

변화는 없지만 부대와 부대를 이동하는 경우들이

있는 편이에요. 다른 부대라고 해도 업무로 인해

아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에 적응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지는 않습니다.

 

대체적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대대급 기준에서 보는 게 아닌

여단급 단위에서 특정부대의 특성이 변경될 경우

인원의 충당, 임무수행을 위한 경우죠.

 

첫 자대에서 웬만해서 10년 가까이 있고 특별한 사항으로

이동한 다고 해도 그곳에서 또 10년 가까이 있게 되죠.

 

그래도 지금은 이동(순환)을 시키고 있는데요.

장점으로 보는 부분이지만 크지만 이게 우물 안 개구리가 됩니다.

언젠가 이동하게 된다면 이동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일에 전문가가 된다.

군인은 모두 주특기가 있는데요.

주특기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은 초임하사 때부터 했던 일을

계속하게 됩니다.

전문가가 안 되는 게 이상한 거죠.

부대에서의 업무를 보면 전투와 지원으로 나뉠 수 있는데요.

전투든 지원이든 어느 쪽 업무를 한다 해도 최소 몇 년씩은 한 업무를 해요.

진급을 하면서 상위 직무로 바뀌기도 하지만 상급자가 하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봐오기 때문에 업무에 부담감이 적게 됩니다.

처음에는 모든 일이 어렵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익숙해지고

그러면서 전문가가 됩니다.

 

군내에서도 여러 가지 사회변화에 따라 변화를 합니다.

업무적인 변화인데요. 따라갈 수 없을 정도도 아니기 때문에

그때그때 배워나가면 됩니다.

 

 

 

 196개월 복무를 하면 연금을 수급받는다.

임관 때부터 복무를 196개월을 하면 연금 수급 가능자가 됩니다.

연금수급권이 생기고 전역한 다음 달부터 사망할 때까지 연금이 나오게 되죠.

가족이 있다면 유족연금으로 전환도 됩니다.

196개월만 해서 전역하여 연금을 받는다면 큰 금액은 아니지만

생활에 도움이 안 되는 것도 아니죠.

연금을 수급받을 수 있을 때까지 복무를 했다면 상사로 전역을 하게 되죠.

대략 월 130만 원 정도의 연금이 나오게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PS5에 대한 공식 발표가 있었는데요.

출시시기와 기기에 대한 여러 정보들이 공개가 되었네요.

 

위 사진의 본체는 개발자 킷이라고 합니다..

소비자 버전은 디자인의 변경이 있을 건데요..

개발자 버전과 유사할 것이라고 하네요.

 

PS5의 성능과 정보

AMD 라이젠 Zen2 8 코어 16스레드 CPU

AMD 라데온 RDNA 기반 그래픽 엔진 (레이 트레이싱)

최대 8K 해상도 출력

커스텀 SSD 탑재

디스크 용량 최대 100GB

멀티 플레이 설치 또는 싱글 플레이 설치 선택하여 부분 설치 가능

3D 오디오 처리 전용 유닛

PS4 하위 호환 지원

햅틱 기술이 탑재된 컨트롤러

L2, R2 어댑티브 트리거 사용

향상된 스피커 사용

USB-C 사용

컨트롤러 배터리 용량 증가

PSVR 지원

 

세부 정보 본체

 

커스텀 CPU와 커스텀 SSD를 이용한 성능 향상으로

상당히 빠른 로딩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상세한 스펙에 대해서는 추후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그래픽 부분으로는 레이 트레이싱을 지원하고, 최대 8K 해상도까지

지원을 한다고 하네요.

 

단일 디스크 매체로 100GB까지 지원하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또한, 3D 오디오 처리 전용 유닛도 포함된다고 합니다.

 

게임의 설치 부분도 유저의 게임 성향에 따라 멀티 부분과

싱글 부분으로 나뉘어 선택하여 설치 가능하네요..

 

PS4 게임의 하위 호환도 지원한다고 하는데 정말 반가운 소식이죠.

그전 시리즈들은 리마스터를 통해서 재발매가 되었던 부분인데요.

하위 호환을 지원해준다면 리마스터를 하지 않고 바로 즐길 수 있겠죠.

100% 지원이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하위 호환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죠.

 

세부 정보 컨트롤러

듀얼쇼크 4

컨트롤러의 진동 기능을 더욱 섬세하게 변화시켰다고 합니다..

햅틱 기술이라고 하는데요..

기존 컨트롤러의 진동은 강약 조절만으로 진동을 표현했다면

이번 햅틱 기술은 상황에 맞게

유저의 촉각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기술이죠.

 

레이싱 게임을 한다면 도로의 표면에(아스팔트, 자갈, 모래등)

따라 다른 느낌이 들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리고 L2, R2에 적용되는 어댑티브 트리거인데요.

 

트리거 버튼에 저항력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여

총의 방아쇠와 활을 당기는 저항력을 표현하는 건데요..

힘의 세기에 따라 섬세하게 조작을 함으로써 사실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게임 플레이가 될듯하네요.

 

컨트롤러의 배터리 용량도 증가할 것이라고 하며, 스피커의

성능도 향상할 예정입니다. 충전포트도 UBC-C형식으로 변경될 예정이고요.

 

PSVR 지원

게임 소프트의 하위 호환뿐만 아닌 하드웨어인 PSVR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하네요.

PSVR이 성능이 향상된 것이 아니지만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일 것 같은데요.

PS5의 성능 향상으로PSVR 게임 소프트 또한 괜찮은 게임이 나올 것 같아요.

 

PS4에서의 VR 게임의 경우 낮은 해상도였지만 ASTRO BOT (아스트로 봇) 같은

경우에는 깔끔한 그래픽으로 VR을 즐길 수 있었거든요.

PS5에서 아스트로 봇처럼 깔끔한 그래픽의 VR 게임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출시일

출시일은 정확하게 발표하지를 않았죠.

출시 시점으로는2020년 연말인데요. 1년 정도가 남아있는 시점이네요.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여러 가지 소식들이 들려오겠네요.

반응형
반응형

먼저 PS4의 시스템 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겠죠.

리모트 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업데이트 내용이 있죠.

엑스페리아 기기 외에도 안드로이드 5.0 이상을 사용하는 기타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PS4를 업데이트하는 동안에 스마트폰에 리모트 플레이 어플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업데이트 전에는 설치도 안되었던 어플이었죠.

 

 

리모트 플레이 앱의 기능 / 사용기

 

DUALSHOCK 4 컨트롤러는  Android 10 이상이 설치된 일부 기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요.

 

삼성 갤럭시 S9+에서 DUALSHOCK 4를 블루투스로 연결해보려 했으나 안됩니다.

Android9 버전이최신 버전으로 설치되어있어 스마트폰이 업데이트가 안되네요.

 

홈 Wi-Fi네트워크로만 리모트 플레이가 됩니다.

이동통신 통신망으로는 리모트 플레이가 불가합니다.

 

 

사진과 같이 이동통신망으로 접속을 하면 Wi-Fi에 접속하도록

메시지를 뿜어냅니다.

 

공유기 근처에서 리모트 플레이를 했을 때에는 게임 화면이나 사운드

전송이 준수한 편이 었는데요.

 

이동해서 신호세기가 떨어지는 곳에서는 게임 화면과 사운드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어요.

 

또한, 컨트롤러의 부제로 인해 화면 터치의 조작이 불편하여

캐주얼 게임이 아닌 이상 못하겠더군요.

 

듀얼쇼크 4가 아닌 블루투스 연결 패드를 이용해보았지만

역시나 리모트 플레이 앱에서는 사용불가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