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R기기로 상위에 위치한 제품으로

PC 기반으로 VR기기로서 처음으로 무선이 적용된 제품이에요.

가격은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그만큼 성능을 가지고 있어요.

 

 

 

바이브에는 헤드폰이 없었지만 바이브 프로버전에서는 헤드폰이 추가 적용되었는데요.

헤드폰 유무도 성향을 타는데요. 저는 없는 것을 선호해요.

 

무선 어뎁터 적용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데요.

이렇게 무선으로 이동하면 헤드폰의 사운드를 통하여 방향성에 이점이 있을듯해요.

 

 

바이브 무선 어뎁터

 

바이브 무선 어뎁터의 사용시간은 최대 2.5시간으로

짧다면 짧은 시간이라고 할 수 있어요.

VR멀미를 한다면 30분 이상하기도 힘들 거예요.

VR멀미를 하지 않는다면 짧을 수 있죠.

VR 콘텐츠에 따라 멀미 유발의 차이가 있어요.

 

 

 

바이브와 프로의 스펙 비교

 

두 제품 모두 룸 스케일을 설정해서 플레이 가능한 영역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데요.

범위를 벗어난다면 화면으로 바로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 일반 가정집 기준으로는 운용하기에 힘들지 않을까 생각해요.

최소 룸 스케일 기준이 있다 보니 작은방 기준으로도 가구나 집기들이 있다보니 부딪치거든요.

너무 집중한 나머지 컨트롤러에 힘을 준다면 무언가 파손될 우려가 있게 되죠.

 

거실에서 사용한다면 괜찮죠.

주변 사람들에게 재미를 주게 됩니다.

그렇다고 주구장창 거실에서 한다면 눈치가 보이겠죠.

거실이라는 공간이 공통 공간이니깐요.

1인 가구라면 거실도 괜찮겠지만 층간소음에 대해 걱정을 해야겠죠.

거주공간이 주택이라면 그나마 제대로 활용 가능하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VR기기를 3가지 사용해보았는데요.

가성비면에서는 PSVR이구요.

VR을 경험해본다는 의미로는 좋은 선택이죠.

 

바이브의 경우는 하드웨어 설치 과정이 복잡한 편이에요.

PC용 VR기기들이 대체적으로 사양이 높다 보니 PC 성능이 안된다면

PC를 바꿔야 하는 상황이 생길수 있어요.

 

삼성 오디세이 MR을 무선으로 만들어 준다면 참 좋을 것 같아요.

삼성 오디세이 MR의 설치 과정이 간편해서 좋았거든요.

 

PC 기반 VR기기의 불편점들과 높은 가격으로

새로운 재품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독립형 VR이라고 하는거에요.

독립형이다 보니 선이 없는 무선 기반으로

VR기기를 운용할 수 있어 좋은 반응을 얻을 것 같아요.

 

PC 기반 VR기기가 등장하고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텐츠의 부족과 컨텐츠의 볼륨이 작았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독립형 VR의 컨텐츠에 대해서도 걱정이 드네요.

오랜시간 즐길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에요.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에서 많이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0) 2019.10.22
QLC로 나온 삼성 860 QVO  (0) 2019.10.07
갤럭시 배터리 수명 확인 어플  (0) 2019.10.07
모니터 패널 종류  (0) 2019.10.06
모니터 해상도와 화질  (0) 2019.10.06
반응형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필수품 중 하나인 스마트폰이 있는데요.

 

소모품 중 하나인 배터리는 중요한 부품이죠.

배터리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으니깐요. 그래서 보조 배터리를 따로 구매해서

용하죠.

 

보조배터리보다 더 중요한게 내장된 배터리인데요.

어느정도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 소모가 빠른 거 같아서 배터리에

이상이 생긴게 아닌지 걱정할 때가 있을 거예요.

 

그렇다고 바쁜 일정에서 삼성 서비스센터를 찾아가서 확인하기에는

시간 내기가 쉽지가 않을 거예요.

배터리가 정말 방전이 난다 한다면 직접 가야겠지만요.

걱정과 의심만으로 찾아가기 번거로우니

간편하게 어플을 이용해서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어플을 설치하시고 실행하면 돼요.

 

실행하면 첫 화면이 나오는데요. 스마트폰의 기본정보가 나와요.

 

 

화면을 넘겨주시면서 Phone INFO화면으로 가시면

Battery Health(배터리 건강상태)가 있어요.

 

신품이라면 Battery Health가 100%겠죠.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낮아지는데 2~3년 정도 시간이 흐르면

80% 후반대까지 내려간다고 하네요.

간단하게 어플 설치만으로 갤럭시 배터리 수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QLC로 나온 삼성 860 QVO  (0) 2019.10.07
HTC VIVE PRO  (0) 2019.10.07
모니터 패널 종류  (0) 2019.10.06
모니터 해상도와 화질  (0) 2019.10.06
랜선 만들기  (0) 2019.10.05
반응형
 

2020년 군인 봉급(월급)과 2019년 봉급(월급)과 비교

2020년 군인 봉급표가 공개되었고 공무원 월급이 2.8% 인상되어 군인도 같은 비율로 인상이 되었습니다. 봉급표는 세전 금액이며, 기본급만 나와 있어 실제 수령금액과 상이합니다. 부대 특성과 업무에 따라 수당..

life-is-happy.tistory.com

2019년도 부사관 봉급표

2020년도 직업 군인의 봉급 인상률은 2.8% 인상될 예정인데요.

내년 하사 1호봉의 월급은 1,655,200원(예상) 되겠네요.

 

내년 최저임금이 8,590원으로 결정되었죠.

일일 8시간 업무로 주 5일 4주(1달)면 1,374,400원이 되죠.

 

군인의 월급에는 기본 봉급과 수당이 있지요.

수당은 계급보다는 업무환경과 가족 구성원 등에 따라 들어오는 게 상이합니다.

월급 외 기타 복지혜택들도 있어요.

 

또한,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공제항목이 따로 있어요.

기본적으로 소득세, 지방소득세, 건상 보험료, 노인장기요양보험료가 있어요.

 

 

전문하사의 월급

 

전문하사 제도는 병사로 복무하다 여러 요인 등으로

군대 생활을 좀 더 하는 제도인데요.

보통 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복무를 하는데요.

 

1호봉 1,105,100원

2호봉 1,148,100원

 

2호봉 정도 하면 전역하던가 단기하사로 전환하죠.

전문하사를 6개월만 한다는 것은 추천하고 싶지 않아요.

전문하사로 전역을 하게 되면 어찌 되었든 간부로써 복무를 하고

전역을 한 게 되어 동원훈련을 간부와 동일한 7년을 참가해야 하죠.

반응형
반응형

모니터 패널은 종류

 

TN 패널

응답속도 1ms로 가장 빠른 응답속도를 가진 패널인데요.

화면 전환이 빠른 FPS게임에 좋고 패널 가격도 저렴하죠.

단점으로 시야각이 좁아 옆에서 보면 흐리게보이죠.

집에서 게임하는데 옆에서 볼일은 없겠죠.

 

 

 

IPS 패널

넓은 시야각을 가진 패널이죠.

어느 각도에서 봐도 선명하고 색감이 좋아요.

무난한 패널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단점으로는 빛샘 현상이 있어 블랙 컬러에 약하죠.

 

 

VA패널

TN 패널과 IPS 패널의 중간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 패널인데요.

TN과 IPS보다 블랙컬러(명암비) 표현력이 좋아요.

대신에 시야각과 응답속도는 IPS보다는 시야각이좁고 응답속도가 느려요.

게임용보다는 디자인 작업에 좋은 패널이죠.

 

 

PLS 패널

VA패널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패널이에요.

장점은 발전시키고 단점은 개선한 패널인데요.

더 선명해지고 응답속도도 개선한 패널이죠.

 

 

 

간단명료하게 정리를 하자면

TN 패널은 빠른 응답속도로 FPS게임용

IPS 패널은 다용도용

VA패널은 명암비 색감 표현율로 그래픽 작업용

어떤 패널을 사용하던지 모든 작업을 할 수는 있지만 조금라도 더 최적화된

패널의 특징에 대해 정리한 거예요.

 

본인한테 가장 어울리는 패널을 사용한 제품을 선택하면 되고요.

모니터에 들어가는 패널과 크기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니

참고하셔서 좋은 선택 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C VIVE PRO  (0) 2019.10.07
갤럭시 배터리 수명 확인 어플  (0) 2019.10.07
모니터 해상도와 화질  (0) 2019.10.06
랜선 만들기  (0) 2019.10.05
삼성 HMD Odyssey+ (MR, VR)  (0) 2019.10.05
반응형

모니터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픽셀

모니터 화면 확대

 

모니터를 확대해서 보면 사진과 같이 정사각형의 점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점 하나가 1 픽셀(Pixel)이죠.

이 픽셀들이 가로 세로 배열로 되어있는데 이 필셀들의 수가 해상도가 됩니다.

FHD의 해상도가 1,920 X 1,080인데요. 가로로 1,920개의 픽셀이 있고

세로로 1,080개의 픽셀이 있어요. FHD의 총픽셀은 2,073,600개의(207만 개) 픽셀인 거죠.

 

 

해상도 비교

 

HD 해상도부터 8K 해상도까지 표현한 사진이에요.

앞으로 8K 디스플레이 시장이 확장되려고 하죠.

해상도를 보면 4K부터 명칭이 바뀌게 되죠.

그전 해상도들은 HD, FHD, QHD 또는 720P, 1080P, 1440P로 픽셀의 세로 방향으로

부르다가 4K부터는 가로 픽셀 수로 부르기 시작했어요.

 

게임 해상도 설정을 보면 세로 방향인 2160P와 4K를 혼용해서 사용했지만 대세는 4K라는 표현이에요.

(디스플레이에서 4K 또는 UHD라고 혼용해서 사용했다가 TV는 UHD라는 표현으로 굳어지고 있는 반면,

모니터는 4K로 굳어지고 있어요. 또는 4K UHD라고 합쳐서도 표현하는데 전부 같은 거예요.)

 

세로 방향으로 부르면 2K가 되는데요. 4K에 비해 반토막이 나죠.

그래서 지금의 4K는 가짜다라는 말도 있었죠.

진정한 4K는 세로 픽셀 수가 4K여야 한다 라는 거죠.

대세는 가로방향으로 바뀌었고 현재로서는 가로방향 픽셀 수로 고정되었죠.

화질의 결정 PPI

PPI (PIXEL PER INCH)

 

PPI는 1인치에 포함된 픽셀의 개수인데요.

사진과 같이 PPI수가 클수록 고밀도로 이미지를 표현하게 됩니다.

동일 해상도를 지원하는 모니터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화질은

작은 모니터 대비 나빠 보이게 되죠.

면적면으로만 본다면 20인치 모니터와 40인치 모니터의 PPI의 차이는 4배가 됩니다.

40인치 모니터는 화면은 크지만 20인치 모니터와 화질의 차이가 4배난다는 거예요.

현재 4K 모니터도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의 선택에서 PPI는

중요하지 않을 듯해요. 모니터를 육안으로 봤을 때 픽셀이 확인이 안 될 테니깐요.

(데드 픽셀의 경우는 보일 거예요. 빨간색으로 죽거든요.)

 

시청 거리

모니터의 특성상 시청 거리는 1미터 이내에서 작업을 하게 되죠.

TV의 경우 동일 해상도인데도 크기가 대형화된 이유 중 하나가

TV의 시청 거리가 2미터 이상 정도 되죠.

예를 들어 65인치 디스플레이를 모니터로 활용한다면 어떨까요.

1미터 이내 거리에서 큰 화면을 보면 한눈에 보이지 않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돼요.

목도 많이 아프겠죠. 반대로 40인치 디스플레이를 TV로 사용한다면 거실에서

볼 때 화면이 작아서 불만족스러울 거예요.

즉, 본인이 어떤 용도로 어느 정도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보는지를 확인한 다음에

디스플레이 크기를 정하시는 게 좋습니다.

 

 

마치며

 

 

해상도는 가로 세로의 픽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상도가 높으면 필셀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져요.

모니터에서 4K급만 된다면 화질은 좋아요.

데드픽셀이 걱정된다면 무결점 정책을 선택하세요.

 

다만, 모니터 제작사의 기술과 패널에 따라 색감, 시야각의 차이가 발생해요.

해상도가 높아지면 그래픽카드가(GPU) 일을 많이 해야 돼요.

OA작업에서 은 문제가 없겠지만, 3D 게임을 한다면 PC 자체도 좋아야 모니터에 표현을 해요.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배터리 수명 확인 어플  (0) 2019.10.07
모니터 패널 종류  (0) 2019.10.06
랜선 만들기  (0) 2019.10.05
삼성 HMD Odyssey+ (MR, VR)  (0) 2019.10.05
소니 PS VR  (0) 2019.10.03
반응형

준 비 물

왼쪽부터 랜툴기, 랜선(CAT5 E), 니퍼, 캡, RJ-45, 스트리퍼(탈피기), 랜 테스터기 이렇게 준비물이 필요해요.

스트리퍼는 리퍼나 커터칼을 이용해서 사용해도 되요.

랜 테스터기가 있으면 편하긴 한데 잘 만든다면 꼭 필요하지는 않죠.

 

 

 

1. 랜선 탈피하기

스트리퍼를 이용해서 랜선 피복에 꼽아서 살짝힘을 주어서 돌려주면

칼날에 의해 피복에 흠이 생겨서 흠 부분을 꺾으면 피복이 벌어지죠.

피복을 잡아당기면 벗겨져요.

스트리퍼를 돌릴 때 너무 힘을 주면 심선도 잘릴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2. 심선 정리 및 절단

피복을 벗기면 4P의 심선이 나오는데요. 꼬여있는 것을 풀어주세요.

 

 

 

풀어준 심선을 정리해주세요.

왼쪽부터 등백색, 등색, 녹백색, 청색, 청백색, 녹색, 갈백색, 갈색 순이에요.

 

 

 

리퍼를 이용해서 정리된 심선을 피복에서 1.5CM 지점을 절단해주세요.

절단할 때는 반듯하게 해주셔야 해요. 사선으로 절단하면 RJ-45에 제대로 찝히지 않게 됩니다.

 

 

 

 

3. RJ-45 찝기

피복에 캡을 넣고 잘 정돈된 심선에 RJ-45를 넣어주세요.

 

 

 

랜툴에 8P라는 곳에 RJ-45를 넣는데요.

주의할 점이 유동이 있으면 심선이 빠질 수 있으니 잘 넣어주세요.

랜툴을 꾹 눌러 압착을 시켜주면 돼요.

 

 

 

 

4. 랜 테스터기를 이용 랜선 확인

 

랜선을 랜 테스터기에 꼽고 전원을 키면 1~8번에 LED가 점멸해요.

이상이 있는 부분이 있다면 LED 불이 안 들오죠.

안 들어오는 부분이 접속 불량이나 단선이 된 거기 때문에

다시 만들어야 해요.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패널 종류  (0) 2019.10.06
모니터 해상도와 화질  (0) 2019.10.06
삼성 HMD Odyssey+ (MR, VR)  (0) 2019.10.05
소니 PS VR  (0) 2019.10.03
PS VITA / TV (단종 기기)  (0) 2019.10.02
반응형

연금 지급 제한 (형벌에 의한 연금 지급 제한)

복무 중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경우

내란, 반란, 이적, 외환, 국가보안법, 군사기밀보호법 등의 죄 : 퇴직수당 및 연금, 일시금 미지급

기타 죄 : 퇴직수당 및 연금, 일시금 50% 제한

 

징계에 의하여 파면된 경우

퇴직수당 및 연금, 일시금 50% 제한

 

징계에 의하여 해임된 경우

금품, 향응수수, 공금횡령·유용 등의 사유 :  퇴직수당 및 연금, 일시금 25% 제한

기타 사유 : 퇴직수당 및 연금, 일시금에 미치는 영향 없음

복무 중 사유로 금고 이상의 형에 처할

행위로 인해 수사가 진행중이거나 재판이 진행 중인 경우

퇴직수당과 일시금 : 50% 제한 → 향후 무죄 판결 시 제한된 금액(50%) 지급
연금 : 정상 지급 →금고 이상의 형 확정 시 다음 달부터 연금 50% 제한

 

 급여의 제한 사유가 확정판결에 대한 재심 등으로 소급 소멸한 경우

 지급하지 아니한 차액에 대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이자 가산하여 지급

 

연금 지급 정지제도 (전액, 일부)

연금 전액 정지

공무원(군무원) 또는 사립학교교직원으로 재임용하여 공무원연금법

또는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을 적용받는 경우 소득에 관계없이 연금 전액이 정지됩니다.

 

연금 일부 정지

연금 외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이 있고, 그 소득의 평균 월액이 전년도 근로자 평균임금 월액을

초과할 경우 소득심사를 통해 초과 소득 규모에 따라 연금의

일부(연금 지급액의 1/2 범위 내)가 정지됩니다.

 

연금 정지 기간

재임용 또는 소득이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부터

재 퇴직 또는 소득발생이 종료되는 날이 속하는 달까지

 

부부군인 연금 배우자 1명 사망 시

각각 군인연금을 매월 받던 중 배우자 1명이 사망 시

남은 사람이 받게 되는 유족연금 지급액

(월 300만 원씩 받았다는 가정 시)


사망으로 인한 유족연금 : 300만 원 × 70% × 1/2 = 105만 원
본인 연금 + 유족연금 : 300만 원 : 계 : 105만원 + 300만원 = 405만 원

반응형

'군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관의 장점  (0) 2019.10.12
부사관 월급 (원사, 상사, 중사, 하사)  (0) 2019.10.06
군인 연금 (수령 및 금액)  (0) 2019.10.04
2020년 군대 월급  (0) 2019.10.04
군대(군인)의 하루 일과  (0) 2019.10.03
반응형

상세 스펙 / 사양

 

 

 

설치에서 사용까지

삼성 HMD오디세이의 설치 과정은 정말 쉬운데요.

USB 포트와 그래픽 카드의 HDMI 포트에 꼽기만하면 돼요.

그러면 윈도 10에서 자동으로 설치작업을 거쳐 프로그램이 실행이 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삼성 HDM오디세이는 정확하게는 VR이 아닌 MR이에요.(혼합현실)

간편한 설치로 노트북에서도 사용할 수 있죠.

노트북이라는 게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하잖아요.

삼성 HMD 오디세이가 그만큼 이동 편의성이 좋다는 거죠.

다른 VR기기 같은 경우 한 곳에 설치해서 쭉 사용하는 용도인 거죠.

 

VR 게임의 경우 스팀을 이용해서 하는데요.

MR을 지원해주는 게임도 많이 늘어나 게임 부족은

많이 느껴지지 않더군요.

 

실질적으로 HMD를 사용하면 주변에 보이는 게 없어

자칫 컨트롤러 파손을 부르게 됩니다.

 

 

단  점

개인적인 생각으로 HMD 모든 장비의 단점이라고 해야겠네요.

여름에 하기가 힘들어요. 에어컨 빵빵하게 켜놓고 한다면 괜찮지만

그렇지 못하다 보니 밀폐되어 땀이 많이 차게 되죠.

땀으로 인한 습기로 디스플레이(렌즈) 부분이 흐려지게 됩니다.

역동적이지는 않지만 머리를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HMD를

꽉 조이게 되죠. (머리스타일이 엉망이 돼요. 특히, VIVE는...)

눈에 보이는 게 없다고 했지만 카메라를 이용해 현실을 볼 수 있어요.

아직까지는 그리 좋은 화질이 아니죠. 흑백사진에 물 묻은 것 같은 화질이죠.

그래서 이 기능을 끄고 쓰게 돼요.

끄니깐 눈에 뵈는 게 없어서 역동적인 게임을 하다. 자리가 옮겨지게 될 텐데요.

잘못하다간 뭔가 부서지게 되니 소극적으로 게임을 하게 되더군요.

반응형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해상도와 화질  (0) 2019.10.06
랜선 만들기  (0) 2019.10.05
소니 PS VR  (0) 2019.10.03
PS VITA / TV (단종 기기)  (0) 2019.10.02
소니 휴대용 게임기 PSP (단종제품)  (0) 2019.10.02

+ Recent posts